
‘프랜차이즈의 신화’로 불리던 더본코리아 백종원 대표가 최근 방송가와 대중 여론의 싸늘한 반응에 직면하고 있다. 그 중심에는 방송인 출신 김재환 감독의 날 선 비판이 있다.
21일 유튜브 채널 ‘45플러스’에는 ‘백종원은 회생할 수 있을까? 백종원과 미디어가 서로를 이용하는 법’이라는 제목의 영상이 올라왔다. 김 감독은 해당 영상에서 백종원의 방송 활동과 사업 전략을 집중 분석하며 비판의 날을 세웠다.
그는 “지금의 백종원은 머릿속에 ‘상장’밖에 없어 보인다”며 “방송을 통해 가맹점을 늘리고, 기업 가치를 끌어올리려는 의도가 보인다”고 주장했다. 이어 “겉으론 소상공인의 조력자로 비치지만, 실제론 방송을 사업 확장의 수단으로 활용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감독은 백종원의 성공 배경 역시 ‘장사 실력’보다는 ‘방송력’에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SBS ‘해결! 돈이 보인다’로 얼굴을 알린 후, MBC ‘마이 리틀 텔레비전’을 기점으로 대중성과 영향력을 폭발시켰다”며 “방송을 통해 ‘장사 천재’ 이미지가 생겼고, 그 이미지가 사업 확장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최근 백종원을 둘러싼 시선은 이전과 다르다. 위생 논란부터 원산지 표기, 건축법·농지법 위반 등 각종 의혹이 연이어 불거지며 이미지에 큰 타격을 입었다. 김 감독은 “방송 속 모습과 실제 사업가로서의 괴리감이 논란의 핵심”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그는 백종원의 방송 권력 강화와 관련한 내부 이야기도 폭로했다. “백종원은 ‘마리텔’ 전후로 방송국에 무리한 요구를 하기 시작했다”며 “지명한 작가와 촬영팀을 투입하라고 요구했고, 그 이후 현장 분위기는 백 대표 중심으로 돌아가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촬영 현장에서 제작진이 눈치를 보게 되고, 백종원 마음에 들지 않는 사람은 방송에서 하차시키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방송을 줄이고 싶어도 줄일 수 없는 상황도 지적됐다. 김 감독은 “방송 노출이 줄면 브랜드 인지도와 매출이 곧장 하락하기 때문에 계속 방송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며 “하지만 그럴수록 이미지 리스크도 커진다”고 말했다.
결국 그는 더본코리아의 위기는 백종원 본인에게서 비롯된 것이라며 “정작 사과문에는 백종원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다. 지금 필요한 건 방송에 의존하는 전략에서 벗어나 근본적인 변화를 꾀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김재환 감독은 MBC 교양 PD 출신으로, 외식업계와 방송의 유착 문제를 비판한 다큐멘터리 ‘트루맛쇼’의 감독으로 잘 알려져 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