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는 수만 가지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중 한 가지라도 상태가 좋지 않으면 당장은 문제가 없을지 몰라도 추후에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최소한 1년에 한 번 정도는 전체적인 점검을 통해 상태를 확인하고 상태가 좋지 않은 부품은 수리 혹은 교체를 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대부분 부품은 우리가 직접 점검하기 어려우며 분해가 필요하거나 리프트를 띄워 밑에서 봐야 하는 경우가 많으며, 꽤 전문적인 지식과 높은 수준의 손재주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소모품들은 우리가 직접 점검하기 쉬우며, 우리가 직접 교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래서 소모품 관리의 기본이 바로 자동차 관리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소모품 교체 주기에 대해 살펴보자.
엔진오일은 윤활 외에도 생각보다 많은 역할을 수행한다. 부품 사이에 생긴 미세한 틈을 막아 기밀성을 유지해 주고, 마찰로 깎여나가는 금속 가루나 엔진 연소 후 남는 부산물을 씻어준다. 그리고 기름이기 때문에 방청 작용도 하며, 냉각수보다는 비열이 낮아 큰 효과를 발휘하지 않지만 일단 액체이기 때문에 냉각 효과도 있다.
주행을 많이 하면 엔진오일에 찌꺼기가 많이 생기거나 변질되어 제 역할을 수행하기 어려워져 교체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1.5만 km를 주행하면 교체하라고 권장한다. 또한 오래 내버려 두면 서서히 변질되기 때문에 주행을 많이 하지 않더라도 1년에 한 번 정도는 교체하는 것이 좋다.
또한 주기적으로 엔진오일 상태를 점검해 양이 부족하거나 상태가 좋지 않으면 보충 및 교체해 주는 것이 좋다. 엔진오일 점검은 매우 쉬운데, 우선 시동을 걸어 냉각수를 어느 정도 데워준 후 평지에서 시동을 끈다. 그리고 5분 뒤 보닛을 열어 엔진오일 스틱을 뽑으면 된다. 엔진오일 스틱은 대체로 노란색 혹은 빨간색으로 되어 있어 찾기 쉽다.
그러고 나서 엔진오일 스틱을 휴지 등으로 닦아준 다음 원래 자리로 다시 넣은 다음 10초 후 다시 뽑아 확인해 엔진오일양이나 색상, 찌꺼기가 많은지 정도를 확인하면 된다. 다만 디젤 차는 몇 번만 운행해도 엔진오일이 검은색으로 변하므로 엔진오일양과 찌꺼기만 확인하면 된다.
엔진 오일은 자가 교체도 가능하다. 다만 리프트를 활용해 차를 어느 정도 들어 올려야 하므로 리프트를 보유하고 있거나 주변에 셀프 정비소가 있는 것이 아니라면 정비소에 방문해 교체하는 것을 추천한다.
다만 자가 교체할 때 주의사항이 있는데, 차에서 배출한 기존 엔진오일은 아무 데나 버리면 안 된다. 환경을 오염시키는 데다 정제를 통해 윤활유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자원이기 때문이다. 아무 데나 버릴 경우 폐기물 관리법 위반으로 1천만 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된다. 배출된 엔진오일은 정비소나 타이어 전문점에 가져가면 수거해 준다.
엔진오일 교체할 때 함께 교체하는 소모품이 둘 있다. 바로 오일필터와 에어필터다. 오일필터는 엔진오일이 역할을 수행한 후 발생하는 찌꺼기를 걸러주는 역할을 하며, 에어필터는 흡입한 공기를 걸러 연소실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가격도 비싼 편은 아닌 데다 교체하는 방법도 쉬운 편이기 때문에 대체로 엔진오일을 교체할 때 이들도 함께 교체하는 편이다. 정비소는 물론 인터넷에서도 아예 세트로 판매하고 있다.
에어 필터 말고 에어컨 필터가 따로 존재한다. 에어컨 필터는 차 안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그렇기 때문에 에어컨 필터라고 부르지만 실제로는 에어컨을 가동하지 않아도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오염된다. 에어컨 필터가 오염되면 실내로 들어가는 공기를 제대로 걸러주지 못해 악취가 발생하며, 호흡기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 에어컨 필터 교체 주기는 6개월, 1만 km 정도로 명시되어 있지만, 여름 및 겨울이 되기 전에 교체하는 것이 가장 좋다.
에어컨 필터는 가격이 매우 저렴하고, 자가 교체가 가능하므로 큰 비용 들이지 않고 교체가 가능하다. 방법도 간편한데, 조수석에 있는 글로브박스를 얼어 안쪽에 있는 고정 핀을 빼면 에어컨 필터 커버가 보인다. 이를 열고 기존 에어컨 필터를 꺼낸 뒤 새 에어컨 필터를 방향을 잘 보고 넣으면 된다. 에어컨 필터는 교체 주기가 아니더라도 필터 상태가 좋지 않다면 바로 교체해 주자.
다만 브랜드, 차마다 교체 방법이 다를 수 있는데, 몇몇 차들은 교체 난이도가 꽤 높은 경우도 있어 자신의 차 에어컨 필터 교체 방법을 검색해 보고 난이도가 높다면 정비소에 방문해 교체하는 것이 좋다.
냉각수는 엔진에서 발생한 열을 식혀주는 역할을 한다. 옛날에는 2년에 4만 km 주기로 교체를 추천하고 있지만 요즘에는 처음 차를 출고한 후 10년, 20만 km까지는 교환하지 않아도 된다. 그렇기 때문에 냉각수에 별다른 문제가 없다면 냉각수 교환을 단 한 번도 하지 않고 차를 교체하거나 폐차할 수 있다.
다만 처음 10년, 20만 km가 지났거나 냉각수 오염 등 문제로 교환을 한 번이라도 한 후에는 옛날처럼 2년, 4만 km마다 교체해 줘야 한다. 엔진오일과 마찬가지로 차량 하부에서 배출해 준 뒤 보충해 줘야 하므로 리프트가 없으면 작업이 어려울 수 있으며, 배출된 냉각수는 독성이 있기 때문에 아무 데나 버리면 안 된다.
브레이크 패드는 디스크와 마찰시켜 제동력을 발휘하는 소모품이며, 브레이크액은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발생한 힘을 브레이크 시스템으로 전달해 주기 위한 소모품이다. 이 두 가지의 상태가 좋지 않으면 제동력이 떨어지거나 심하면 제동이 안 될 수 있어 사고 위험을 높인다.
브레이크 페달은 정해진 교체 시기나 주행거리가 따로 없으며, 패드가 3mm 이하로 남았을 때 교체하는 것을 추천하고 있다. 왜냐하면 브레이크 패드가 오래되었다고 해서 변성되는 것이 아니며, 주행 거리가 길다고 해도 브레이크를 많이 밟지 않는 운전습관이라면 주행거리에 비해 브레이크 패드가 많이 닳지 않았을 수 있기 때문이다.
브레이크액은 2년, 4만 km마다 교체하는 것을 추천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은 교체 주기를 한참 넘겨서 사용하다가 교체하는 경우가 많은데, 베이퍼 록 현상이 발생해 브레이크가 잘 안 들을 수 있어 교체 주기를 따르는 것이 좋다. 그 외 엔진룸을 통해 브레이크 오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데, 부족하면 보충해 주고, 색상이 바뀌는 등 상태가 좋지 않다면 교체해 주자.
타이어는 사람으로 치면 발과 같은 역할을 하는 매우 중요한 소모품이다. 타이어를 제때 교체하지 않으면 연비 하락과 제동거리가 길어지는 것은 물론 심하면 펑크가 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타이어는 5년, 6만 km 주기로 교체하는 것을 추천하지만 주행거리의 경우 마모가 많이 되지 않았다면 더 사용해도 문제는 없다. 주기적으로 타이어 위치를 교체하면 바퀴가 균일하게 마모되기 때문에 더 긴 주행거리까지 활용할 수 있다.
연도의 경우 타이어를 많이 사용하지 않아도 시간이 지나면 경화되기 때문에 되도록 지켜주는 것이 좋다. 타이어 측면에 살펴보면 4자리 숫자가 있는데, 뒤의 두 자리는 생산 연도, 앞의 두 자리는 주차를 말한다. 예를 들어 1022일 경우 22년도 10주 차에 생산된 타이어다. 타이어는 전용 장비 없이 수작업으로는 상당히 어려우며, 교체 후 공기 주입과 휠 밸런스를 필수로 맞춰줘야 하므로 타이어 교체는 정비소나 타이어 전문점에서 진행하는 것이 가장 좋다.
와이퍼는 앞 유리와 뒷유리(있는 차들에만)에 묻은 빗물을 닦아내는 데 필요한 것으로, 와이퍼 상태가 좋지 않으면 빗물이 잘 안 닦여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와이퍼는 적어도 1년에 한 번은 교체하는 것이 좋으며, 주기적으로 와이퍼 상태를 확인해 손상이 발견되었다면 즉시 교체해 주는 것이 좋다. 와이퍼 고무를 직접 확인하는 것 외에도 작동 시 떨림이 발생하거나 소음 및 자국이 발생한 것으로 교체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와이퍼는 매우 쉽게 자가 교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정비소로 갈 필요 없이 인터넷이나 마트 등에서 자신의 차에 맞는 규격의 와이퍼를 구입한 뒤 교체하면 된다. 와이퍼를 교체해도 유리에 유막으로 잘 안 닦일 수 있기 때문에 1년에 한 번 정도는 셀프세차장에서 유막 제거제를 활용해 유막을 제거해 주자. 또한 발수코팅을 주기적으로 입혀주면 유막이 생기지 않아 관리하기 더욱 수월하다.
여기에서는 일반적인 소모품 교체 주기를 기준으로 언급했지만, 차마다 언급하는 소모품 교체 주기가 다르기 때문에 가장 좋은 방법은 차를 구입할 때 동봉된 매뉴얼에 적혀 있는 교체 주기를 확인해 주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하이브리드나 전기차의 경우 제동 시 브레이크보다는 회생제동 시스템을 많이 활용하기 때문에 브레이크 패드나 오일의 교환 주기가 일반 차들보다 길다.
자동차 관리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소모품, 이들만 잘 교체해도 차를 더욱 좋은 상태로 오래 쓸 수 있는 만큼 앞으로라도 소모품 관리에 더욱 신경 써보는 것이 어떨까?
댓글0